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inode2

[Linux & Unix] 아이노드(inode) Full 확인 하기 간혹 Disk 용량를 모두 사용하지 않았으나, 파일등이 생성이 안되는 경우가 발생한다. 그 이유중 하나는 아이노드(inode)의 갯수가 모두 사용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. 그럼 아이노드(inode)가 무엇인지 부터 알아보자. 1. 아이노드(inode)란? - 파일을 기술하기 위한 자료 구조 모든 파일시스템이며, 아이노드의 개수(파일의 최대 개수)는 OS 설치시 혹은 파일시스템 생성 및 설정시에 해당 개수를 설정할 수 있다. 2. 아이노드(inode) 용량 확인 - df 명령어를 통해서 해당 부분을 확인 할 수 있으며, 그중 -i 옵션을 통해서 해당 내용에 대해서 확인 가능하다. 아래 비교한 것 처럼 df 명령어를 통해서 항상 디스크 용량만 뿐만아니라 -i 옵션을 통해서 아이노드(inode) 사용량을 확.. 2020. 4. 22.
[Linux & Unix] i-number(아이노드 번호)를 이용한 파일/디렉토리명 변경 하기 Linux를 사용하는경우 파일명 혹은 디렉토리가 한글이거나 인코딩문제로 깨진경우 파일을 열거나 디렉토리로 이동이 불가능 하다. $ ls -ailt 193052529 drwxr-xr-x 3 root root 48 8월 14 12:12 . 159472457 drwxr-xr-x 5 root root 115 8월 14 12:12 .. 193052531 -rw-r--r-- 1 root root 0 8월 14 12:12 테스트.txt 201357184 drwxr-xr-x 2 root root 6 8월 14 12:12 테테테스트 맨 앞에 있는 Number가 해당 파일 및 디렉토리의 i-number(아이노드 번호) 이다. 그럴 경우 i-number(아이노드 번호)를 이용하여 파일/디렉토리명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... 2019. 8. 14.
728x90
300x250

loading