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    
    
  반응형
    
    
    
  
간혹 Disk 용량를 모두 사용하지 않았으나, 파일등이 생성이 안되는 경우가 발생한다.
그 이유중 하나는 아이노드(inode)의 갯수가 모두 사용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.
그럼 아이노드(inode)가 무엇인지 부터 알아보자.
1. 아이노드(inode)란?
- 파일을 기술하기 위한 자료 구조 모든 파일시스템이며, 아이노드의 개수(파일의 최대 개수)는 OS 설치시 혹은 파일시스템 생성 및 설정시에 해당 개수를 설정할 수 있다.
2. 아이노드(inode) 용량 확인
- df 명령어를 통해서 해당 부분을 확인 할 수 있으며, 그중 -i 옵션을 통해서 해당 내용에 대해서 확인 가능하다.
아래 비교한 것 처럼 df 명령어를 통해서 항상 디스크 용량만 뿐만아니라 -i 옵션을 통해서 아이노드(inode) 사용량을 확인 할 수 있다.
# 아이노드 사용량 확인
$ df -i
Filesystem	    Inodes     IUsed     IFree   IUse%   Mounted on
/dev/sda1      1310720    152112   1158608     12%   /
tmpfs          1007655         1   1007654      1%   /dev/shm
/dev/sdb1      6553600   5113893   1439707     79%   /data
# 디스크 용량 확인
$ df
Filesystem     1K-blocks     Used   Available  Use%  Mounted on
/dev/sda1	    20511356   3776048   15686732   20%  /
tmpfs            4030620         0    4030620    0%  /dev/shm
/dev/sdb1      103080224  41167496   56669900   43%  /data1
728x90
    
    
  반응형
    
    
    
  '+ OS > Linux & Uni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Linux] Python(파이썬) pyenv virtualenv Install(설치하기) (0) | 2020.05.11 | 
|---|---|
| [Linux] rm 사용시 "인수 명단이 너무 김(Argument list too long)" 발생시 해결 방법 (0) | 2020.04.22 | 
| [Shell] 명령어를 사용해 데몬 메모리 사용량 확인하기 (0) | 2020.04.09 | 
| [Linux] How to add new network interface(SFP+) on CentOS 7 (0) | 2019.11.25 | 
| [Linux] find 명령어로 디렉터리 파일 찾기 (0) | 2019.10.16 | 
 
										
									 
										
									 
										
									 
										
									 
댓글